자고로 여름은 에어컨 없이 지내기 힘든 시기이다. 에어컨은 그 작동원리로 인해 습도를 낮추고 공기를 시원하게 한다. 즉, 여름에 장마가 오고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우리나라 여름에는 필수품이다.
내가 사는 집은 (내 집은 아니지만) 시스템 에어컨이 달려있다. 하지만 거실과 침실에만 있고 나머지 방 두 곳에는 에어컨이 없다. 그래서 창문형 같은 제품을 알아봐야 하는데
가격이 살벌하다. 원래 이렇게 비싼 장르가 아니었는데 어느 사이에 가격이 확 올라갔다. 그리고 창문 생김새에 따른 설치시 돌발상황이 예측이 되질 않는다. 뒤에 이야기 하겠지만 신축아파트라 이번에 리뷰하는 에어컨의 배기구 덕트의 높이도 모자른 상태라서 제대로 써보질 못하고 있다.
중간요약
이러한 두가지 이유때문에 결국 이동식 에어컨을 구매하게 되었다.
와디즈 펀딩을 통해서 33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구매했다. 위에 언급한 창문형들 가격에 비하면 꽤나 좋은 가격이다. 물론 한일 공식몰에서도 39만원 정도에 판매하고 있다.
포장을 개봉하면 부자제와 함께 이렇게 들어있다. 언능 방이 시원해질 것을 기대한 나머지 배송 온 상태의 사진이 없다. 배기덕트의 길이는 생각보다 많이 늘어난다.
빠르게 설치해서 아래와 같이 만들었다.
방이 너무 너저분하다. 거의 창고처럼 사용하면서 많은 일을 하는 공간이라 정리가 잘 안된다. 일단 여기까지 적고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특징들을 갖고 있다. 생각보다 자리를 덜 차지하지만 배기 덕트까지 잘 처리하려면 생각보다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번엔 단점을 적어보고자 한다.
일단 배기덕트가 많이 뜨겁다. 그래서 어지간하면 방 전체가 확 시원해지는데는 시간이 걸린다. 심지어 이건 우리 집 만의 문제인데 창이 긴 집은 (대부분 신축) 배기덕트 연결부분에 추가로 확장되는 부품을 사용해서 창문을 완벽히 막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뜨거운 공기가 다 나가지 못하고 방 안에 내뿜어져서 에어컨을 아무리 돌려도 방이 시원해지지 않는다.
더불어서 배기덕트를 연결하고 있는 부분이 창문과 일치시키면서 뭔가 실링개념의 처리를 하는 것이 없어서 완벽하게 높이를 맞춰서 배기구를 막아도 단열이 제대로 안될 거 같다. 다만 에어컨 앞 공기 토출부는 추울만큼 시원하다. 그리고 온도를 표시하는 액정부분이 아주 흐릿하게 나온다. 초기 불량인 줄 알았는데 와디즈 커뮤니티를 보니 다들 그런다고 한다(…)
그리고 내가 생각한 구조적인 문제점은 저 덕트에 있다. 에어컨이 가동되면 저 덕트가 상당히 뜨거워진다. 저 덕트의 열기가 방안에 퍼지기 시작하면 창문의 저 공간을 막아도 덕트의 열기로 인해 냉방성능을 꽤 잡아먹을 거 같다.
창문형 에어컨이 처음 나왔을 때(그 옛날 거 말고) 확실히 좀 조잡함이라는 것이 느껴졌었다. 하지만 엘지나 삼성같은 대기업들이 참가하면서 좀 더 괜찮은 물건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에 비례하게 가격도..) 이동형 에어컨도 그렇게 되지 않을까 싶다.
사건번호 보통 개인회생을 시작하면 변호사 사무실에서는 채권자에게서 전화가 오면 변호사 사무실로 전화하라고 알려주라고 하지만 채권자들은…